티스토리 뷰
겨울철이 되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블랙아이스 사고 때문에 걱정이신 분들이 정말 많습니다. 특히나 얼마 전에는 합천에서 41대의 차가 줄줄이 부딪히는 사고가 나며 부상자가 속출했는데요. 블랙아이스가 발생한 도로는 일반 도로의 14배, 눈길의 6배나 미끄럽다고 합니다.
시속 20~30km의 저속으로 운행 중인 자동차가 블랙 아이스가 발생한 구간에서 급브레이크를 밟는다고 해도 약 30m나 더 가서 멈출 정도라고 하면, 어느 정도 감이 오실 것 같은데요. 특히나 블랙아이스는 도로 색깔과 비슷해 육안으로 구별이 힘들기까지 합니다. 오늘은 블랙아이스가 무엇인지, 또 어떻게 예방하고 대처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블랙아이스 란?
블랙아이스란 도로 위에 남아있던 물기가 기온이 갑작스럽게 내려가며 얼어붙으면서 발생하는데, 자동차의 매연과 먼지가 함께 엉겨 붙어 검은색을 띠기 때문에 '블랙아이스'로 불립니다. 해외에서도 겨울철마다 많은 사고를 불러일으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블랙아이스는 언제 생길까?
보통은 눈이 녹으면서 도로에 물기가 생기고, 기온이 다시 낮아지면서 이 물기가 얼어붙어서 발생하게 됩니다. 하지만 비가 내리고 나서 잠시 후에 온도가 급감하면서 순식간에 빗물이 블랙아이스로 변해 버리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블랙아이스는 어디서 생길까?
블랙아이스는 특히 햇빛이 잘 닿지 않는 곳에 잘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그늘진 도로나 터널 입구에서 자주 발생하며 햇빛이 들지 않고 공기가 찬 새벽시간에 잘 발생합니다. 또한 자동차의 통행이 많지 않은 골목길에는 마찰열이 발생하지 않아 상습적으로 블랙아이스가 발생합니다. 또한 공중에 떠 있어 아랫부분과 윗부분이 찬 공기에 동시에 노출되는 교량이나 고가도로에서도 블랙아이스로 인한 사고발생율이 높습니다.
▶블랙아이스 예방법
블랙아이스가 발생한 장소를 미리 알 수는 없으니 가장 최선은 예방을 하는 것이며, 차선은 블랙아이스 구간에 이미 들어선 순간 대처를 하는 것입니다. 우선 미리 예방을 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감속주행, 차간거리유지
굉장히 뻔한 이야기이지만 가장 최선의 방법은 평소에 감속 주행하며 차간거리를 넓게 유지하는 방법입니다. 다만 겨울철 내내 이렇게 운전할 수는 없으니, 앞서 말씀드린 블랙아이스가 잘 발생하는 시간대와 장소에서는 특히 유의하여 방어운전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2. 윈터 타이어, 스노우체인, 스노우 스프레이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나의 안전을 위해서는 윈터 타이어를 사용해 주는 것이 최선이지만 가격이 부담되는 것도 사실입니다. 이런 분들은 적어도 타이어 마모 점검 및 공기압 체크를 받으시는 것이 좋으며, 추가적으로 스노우체인을 사용하시거나 스노우 스프레이를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완벽하게 예방하지는 못하지만, 아무 대비도 하지 않는 것보다는 훨씬 나은 방법입니다.
▶블랙아이스 대처법
이미 블랙아이스 구간에 진입을 했을 때는 최대한 침착하게 행동을 해야 합니다. 차가 미끄러지기 시작하면 당황해서 급브레이크를 밟게 되는데, 이러 경우 오히려 더 미끄러지면 차가 빙글빙글 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브레이크를 밟지 마시고 핸들을 붙잡고 침착하게 직진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대처하셔야 합니다.
차가 회전한다고 핸들을 회전하는 반대방향으로 급하게 돌리게 되더라도 스핀현상이 발생하며 차가 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대한 직진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핸들을 천천히 돌리면서 브레이크를 5~6번에 걸쳐 여러 번 밟으면서 천천히 차가 정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층간소음 법적기준 이웃사이센터 (0) | 2020.01.07 |
---|---|
어골칼슘 가루 효능 부작용 (0) | 2020.01.07 |
인디언 감자 아피오스 효능 (0) | 2020.01.06 |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가입방법 조건 은행 (0) | 2020.01.06 |
청년저축계좌 신청 (0) | 2020.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