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나의 가족과도 다름없는 반려동물이 죽거나, 도난 등으로 반려동물을 잃어버렸을 때 주인으로써 겪는 슬픔과 상실감은 이루말할 수 없을 정도로 큽니다. 쉐프 이연복씨는 반려견인 쬬코가 죽은 후 가족 중 한 사람이 죽은 느낌이었다고 하며 방송중에 눈물을 흘렸고, 배우 구혜선씨는 자신의 에세이에서 반려동물을 잃었을 때 내 전부를 상실하고 질식할 것 같은 느낌이었다고 했습니다.

실제로 펫로스 경험해 본 사람의 75% 이상이 사회생활에서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남자들은 가까운 친구를 잃은 느낌, 여자들은 자녀를 잃었을 때와 같은 느낌을 받는다고 합니다. 특히나 혼자 사는 사람들이 반려동물을 잃었을 때 그 증상은 극대화되며 심한 경우 자살까지 하기도 합니다. 반려동물 산업이 급성장하면서 이런 펫로스 증후군이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데, 오늘은 펫로스 증후군의 증상과 극복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펫로스 증후군 감정변화 단계

반려동물을 잃었을 때 보통은 4단계의 감정 변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1단계(사후 즉시) : 충격으로 쇼크 상태에 접어들며 반려동물이 죽었다는 사실을 부정하고 괴로워합니다.

2단계(사후 7일~한달) : 죽음의 원인인 질병, 사고, 수의사, 심지어 자기 자신에 대한 분노와 죄책감이 듭니다.

3단계(사후 2개월 전후) : 분노가 가라앉으면서 이성적 사고가 가능해지면서 슬픔과 우울의 감정을 느낍니다. 이 시기에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증상이 발생합니다.

4단계(사후 6개월) : 보통은 6개월 정도 지나면 회복기에 접어들며 현실을 받아들이게 됩니다. 다만 이런 슬픔이 1년이 지나도록 계속된다면 펫로스 증후군으로 보고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펫로스 증후군 증상

아래와 같은 증상이 6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 심리상담사나 정신과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펫로스 증후군은 길면 3년 이상도 지속될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초기에 극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상이 심하면 항우울제나 항불안제 같은 약물 요법을 병행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1) 심한 슬픔을 느끼며 우울감으로 일상생활이 어렵습니다. 스스로를 가두어 밖에 나가지 않으며 불면증으로 밤새 잠을 못 이루는 경우가 많습니다. 

2) 반려동물을 혼냈던 일, 좋아하는 간식을 자주 주지 않았던 일, 집에 늦게 들어가서 혼자 오랜시간 있게 한 일 등 못해준 일들이 계속 생각나며 죄책감을 느끼고 후회를 합니다. 길에서 같은 종의 동물을 보면 눈물이 나고 반려동물이 사용했던 장난감 등의 물건을 버리지 못하고 간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3) 반려동물이 살아있을 때와 동일한 생활패턴으로 일과를 보냅니다. 이미 세상에 없는 반려동물의 밥그릇에 밥을 주고, 시간에 맞춰서 산책을 나가고, 평소 반려동물이 좋아하던 간식을 삽니다. 반려동물과 놀아주는 것처럼, 아무 의미없이 장나감을 허공으로 던져주기도 합니다.

 

▶펫로스 증후군 극복방법

1) 반려동물이 나이가 들어갈수록 달라지는 모습을 보면서 미리 마음의 준비를 조금씩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갑작스러운 죽음에도 충격이 덜하고 받아들이기 한결 수월합니다. 또한 마지막 인사를 나누면서 미안하다는 말만 하지 말고, 소중한 추억을 만들어 준 것에 대한 고마움을 표현해 주고 꼭 다시만나자는 약속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2) 반려동물을 잃고 난 후의 슬픔, 분노 등의 감정을 속에 묻어두지만 말고 밖으로 꺼내놓는 것이 좋습니다. 같은 경험을 한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슬픔을 공유하세요. 평소에 반려동물들과의 즐거웠던 추억들을 기록이나 앨범으로 남겨놓고, 묘지나 기념비를 만드는 등 마지막 가는 길에 해줄 수 있는 모든 것을 다 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3) 반려동물이 사용했던 물건들은, 반려동물들에게 잘해 주지 못했던 기억들을 상기시키기도 합니다. 따라서 천천히 시간을 두고 하나씩 처분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어린아이가 있는 가정에서는 아이들에게 강아지가 집을 나갔다며 거짓말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거짓말로 인해 아이들에게 신뢰를 잃고 잘못된 관념을 심어줄 수 있으므로, 솔직하게 이야기 해 주시고 하늘나라에서 행복하게 잘 살 거라고 말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