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니미츠급

미 해군 소속의 '니미츠급 항공모함'은 태평양 전쟁 영웅 체스터 니미츠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총 10대가 취역한 상태이다.
가장 먼저 취역한 니미츠를 제외하고 모두 미국 대통령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세계에서 2번째로 규모가 큰 항공모함이다.
비행갑판 길이는 332.8m, 폭은 76.8m로 60여 대의 항공기를 실을 수 있으며 30노트(약 55km/h) 속도로 운행되는 원자력 추진 항공모함이다.

2. 제럴드 R. 포드급

기본 설계는 니미츠급 항공모함과 같지만 일부 장비를 최신 사양으로 교체하고 자동화 장비를 대거 도입한 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항공모함이다. 
비행갑판의 길이는 337.1m, 폭은 78.02m로 75대 이상의 항공기를 수송할 수 있으며 현재 단 1대만이 취역한 상태이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포드급 항공모함 1대의 가치는 중국 해군력의 40%와 맞먹는다고 할 정도로 현존하는 최강의 항공모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퀸 엘리자베스급

비 미국 해군 군함으로는 일본 야마토급 함정에 이어 최대 규모의 군함이다.
현재 퀸 엘리자베스함 1대만 취역해 있으며 프린스 오브 웨일스함이 2020년 취역을 위해 의장공사를 진행 중이라고 한다.
영국의 타블로이드지가 '한반도 항공모함 급파설'을 낚시성 오보로 내보냈는데, 홍준표 의원이 사실관계 확인 없이 영국 대사에게 감사를 표했다가 체면이 깎인 웃지 못할 일화가 있다.

4.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소련 해군의 원수인 쿠즈네초프 제독의 이름을 딴 항공모함으로, 구 소련 시절 건조하여 러시아에서 운용하는 항공모함이다.
유도 카쉬탄부터 대함 미사일까지, 항공모함 치고 엄청난 화력을 갖추고 있어 혼자서 함대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강력한 녀석이다.
다만 이러한 중무장으로 함재기 공간이 적어 40~50대 정도의 항공기만 실을 수 있어 항공모함이라기보다 전함에 가깝다고 평가된다.

5. 랴오닝급

중국 해군 최초의 실전 배치 항공모함으로,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으로 건조되던 중 소련의 붕괴로 중국에서 250억이라는 헐값에 사들여 개조하여 사용하고 있다.
랴오닝급을 중국으로 가져오기 위해서는 이스탄불 앞바다를 지나와야 했는데, 터키가 통과 허가를 내주지 않아 중국은 4,500억에 달하는 혜택을 터키에게 제공하고 통과 허가를 받는다.
랴오닝급 개조를 경험 삼아 현재 중국은 국산 항모인 '산둥'과 '광둥' 등을 건조 중이다.

6. 비크라마디티야

인도에서 기존의 비크란트급 항공모함의 노후화로 인한 대체제로, 구 소련의 아드미랄 고르시코프함을 구매하여 개조했는데 이 항공모함이 바로 '비크라마디티야'이다.
당시 러시아의 판매 조건으로는, 러시아에서 개조를 담당하며, 인도는 항공기 이착륙에 필요한 장비를 부가적으로 구매해야 하고, 인도의 차기 비크란트급에서 운영할 항공기 판매에도 우선권을 줄 것을 요청한다.
러시아는 항모 개발 기술역량과 경제적인 이득을 보고, 인도는 파키스탄과 중국을 견제할 수 있는 항공모함을 얻은 윈윈 거래로 평가되고 있다.

7. 샤를드골급

샤를드골급은 미 해군 보유의 니미츠급과 포드급을 제외하고 세계에서 유일한 원자력 추진 항공모함이다.
핵 추진을 위해 탑재한 원자로가 잠수함용으로 잘못 설계되는 바람에, 다시 배를 가르고 원자로를 교체하는 등의 우여곡절을 겪으며 원래 계획된 예산의 3배가 들었다고 한다.

8. 카보우르

이탈리아 초대 총리의 '카보우르 백작'의 이름을 딴 제품으로 3만 톤급의 경량급 항공모함이다.
해리어 8대, 헬기 12대를 기본으로 적재하며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F-35B 전투기를 도입하여 해리어를 대체할 예정이다.

9. 후안 카를로스급

스페인 해군의 다목적 수륙양용 공격용 상륙함으로, 전 스페인 국왕의 이름을 따 와서 만들었다.
원래는 상륙함용으로 만들 계획이었지만 항공모함 기능을 추가하여 헬기 25대, 해리어 12대, 탱크 45대까지 탑재가 가능하다.
다목적으로 운용이 가능하며 6천 억 이라는 저렴한 가격으로 가성비가 뛰어나 호주, 터키 등지로 수출되고 있다.

10. USS 아메리카

2014년 10월에 취역한 미 해군의 수륙양용 공격함으로 헬기, F-35B 전투기를 실어 항공모함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강습상륙함을 기본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동급 배수량의 항모에 비해 함재기 탑재 능력이 떨어지며, 전투기는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F-35B만 탑재할 수 있습니다.

 

댓글